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4

[화장품화학] 계면활성제 - 유화(Emulsion)작용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를 인위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킨 것 빛을 통과시키지 못하고 산란시킴 유화의 산물을 에멀젼(유액)이라고 함 음이온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됨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 O/W(oil in water) 형태의 유화제로 사용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전해질에 대해 안정함 매크로 에멀젼(macroemulsion) : 1~10um 미니 에멀젼(miniemulsion) : 0.1~1um 마이크로 에멀젼(microemulsion) : 20~100nm step1. 크리밍 - 분산된 입자가 상층에 부유하거나 하층으로 침강하는 것 *크리밍 속도를 늦추는 방법 분산입자의 크기를 작게 함, 분산상과 연속상의 밀도 차이를 줄임, 연속상의 점도를 높임 step2. 응집 - 전기적 성질에 의해 모이는 것.. 2020. 6. 20.
[화장품화학] 계면활성제 * 계면 : 물리적이나 화학적으로 성질이 다른 물질이 서로 접촉하면서 생기는 면 * 표면장력 : 표면의 안쪽방향으로 작용하는 인력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 세척제, 살균제, 정전기 억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 세척제, 기포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 산성 조건에서 양이온 염기성 조건에서 음이온 성질을 나타냄, 피부자극 적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피부자극이 제일 적다. 가용화제, 유화제, 세정제로 사용 세척제, 기포제, 소포제, 유화제, 가용화제, 분산제, 침투제, 살균제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물에 대한 용해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온도, 이때 마이셀이 형성됨 마이셀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계면활성제의 농도, 물에 유성 성분의 용해도가 증가 1(친유성)부터 20(친수성)까지 소포제(1.5~3) W/O 유화제(4~6) .. 2020. 6. 20.
[생명과학] 바이오 관련 주요 용어설명 (제네릭, 바이오 시밀러...) 바이오 관련 자료나 기사들을 볼 때마다 생소하거나 잘 모르는 단어가 종종 있습니다. 제네릭과 바이오 시밀러의 차이가 뭔지, 그리고 신약 개발에 가장 중요한 임상시험의 각 단계가 어떻게 시행되는지 등 주요하게 나오는 용어를 정리했습니다. 의약품(medicine) : 사람, 동물의 질병 진단, 치료, 예방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 기구, 기계 장치가 아닌 것 신약(original) : 화학구조나 본질 조성이 새로운 신물질 또는 신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복합제제 의약품 제네릭(generic drugs) :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합성의약품을 모방해 만든 의약품으로써 기 허가된 의약품과 주성분, 함량, 제형 및 용법과 용량이 동일한 의약품 완제의약품(drug products) : 모든 제조공정이 완료되어 최.. 2020. 6. 18.
[에이프로젠제약] 코로나19 치료제 생산하나?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과 코로나19 억제활성 규명을 위한 공동연구를 통해 세포수준에서 골다공증 치료제인 랄록시펜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활성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랄록시펜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활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해 왔으며 이번 연구 결과로 실제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2015년 메르스 발병 뒤 경기도는 예산 15억 원을 들여 메르스 치료제 개발사업을 추진했고 골다공증 치료제로 사용되는 랄록시펜이 메르스 및 사스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발견한 바 있습니다. 협의체는 8월 말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시험계획서를 제출한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승인 뒤 임상 연구에 들어가면 이르면 올해 안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에이프로젠제약이 랄.. 2020. 6. 15.
[올릭스] LGC와 임상시료 GMP 생산 계약 체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9&aid=0002407805 올릭스, LGC와 임상시료 GMP 생산 계약 체결 코스닥상장사인 올릭스는 LGC 바이오서치 테크놀로지(Biosearch Technologies·LGC)와 손을 잡았다. 올릭스는 비대칭 RNA 간섭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RNA 간섭 치료제를 개발하는 news.naver.com 12일 올릭스는 망막하섬유증 및 습성황반변성을 동시에 치료하는 OLX301D의 비임상 및 임상시험을 위한 API(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의 GMP 생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는 "OLX301D 프로그램의.. 2020. 6. 14.
[생명과학] 김빛내리 교수, 인체 단백질 비밀도 풀었다. (배경지식) 코로나 19 비밀을 풀었던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가 인체 단백질 비밀마저 풀어냈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 김빛내리 단장(서울대 석좌교수)·김종서 연구위원(서울대 책임연구원)은 사람 세포 속 RNA 결합 단백질 상에서 결합을 형성하는 'RNA 결합자리'를 광범위하고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RNA 결합 단백질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핵심 인자입니다. 관련 기사입니다. 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609000205 코로나19 비밀 푼 김빛내리 교수, 인체 단백질 비밀도 풀었다 코로나19 비밀 푼 김빛내리 교수, 인체 단백질 비밀도 풀었다 www.newspim.com 관련 지식 DNA가 단백질이 되는 과정 우리 세포.. 2020. 6. 9.
[라보에이치] 프로바이오틱스 탈모증상완화 샴푸 - 나의 첫 번째 두피 스킨케어 스킨케어, 시작은 두피부터! 나의 첫 번째 두피 스킨케어 라보에이치 라보에이치 아모레퍼시픽에서 LABO-H라는 브랜드를 런칭하였습니다. LABO-H(라보에이치)는 Laboratory of Hair (헤어 연구소)의 약자로, 브랜드의 오랜 헤어 연구 기술의 진정성과 자신감을 담았다고 합니다. 라보에이치는 '두피도 매일 스킨케어 하자’는 콘셉트 아래 매일 똑같이 머리를 감아도 환경의 변화, 불규칙한 식습관 등 서로 다른 라이프스타일 속 개개인의 두피 컨디션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고 두피가 건강한 균형을 찾는 것에 집중하였습니다. 라보에이치의 기술 오직 두피만을 위한 10년 공동연구 - 피부/헤어/성분/미생물 전문가의 공동연구로 탄생한 라보에이치 전 제품 식약처 보고 완료 기능성 화장품 - 전체 헤어제품 식약.. 2020. 6. 6.
[방사광 가속기] 방사광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월 8일 1조 원 규모의 대형 국책사업 ‘방사광 가속기’ 구축 부지로 충북 청주(오창)를 선정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2년 이전에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방사광 가속기란 무엇이며, 왜 방사광 가속기를 유치하기 위해 여러 지역에서 노력을 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방사광 가속기란? 가속기에서 전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켜 태양 빛 밝기의 100억 배에 달하는 밝은 빛(방사광)을 만들어내는 장비다. 방사전자석을 이용해 전자를 휘게하여 방사광으로 원자, 분자 수준의 근원적 구조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광가속기를 '초고성능 거대 현미경'으로도 부른다. 방사되는 빛은 적외선에서 X-선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여 연구자는 필요에 따라 적정파장.. 2020. 6. 6.
[셀트리온]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동물시험 첫 단계 성공 코로나19 항체 후보물질이 동물시험에서 성공 7월중 임상실험 진행 계획 2020년 6월 1일 셀트리온이 개발중인 코로나19 항체 치료제가 동물시험에 성공했습니다. 시험 동물로 페럿을 사용했는데요. 페럿은 족제비의 일종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에 민감해서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후보물질의 효능을 평가하는 데 적합한 동물 모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은 페럿에 이어 햄스터, 생쥐, 원숭이를 대상으로 효능성 및 독성 시험을 이어 나갈 예정이며, 임상물질 생산을 위한 준비도 병행해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6월 중 임상물질 대량생산에 돌입하고, 7월내 인체 임상에 필요한 항체 치료제 물질 공급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https://www.celltrion.com/ko-kr/pr/NewsDetail 보.. 2020.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