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유튜버 '부동산 읽어 주는 남자'가 알려준 내용을 바탕으로 쓴 글입니다.
현금은 지속적으로 가치가 하락한다.
물가가 작년 대비 2%가 올랐다의 의미 → 돈의 가격이 그만큼 싸졌다는 것
작년에 500원 하던 껌이 올해 600원이 됐다고 가정해보면, 껌값은 작년 대비 20%가 상승했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껌 값이 오른 게 아니라 돈의 가치가 하락했다는 것입니다.
돈의 가치가 하락했기 때문에 500원으로 껌과 바꾸지 못하는 것입니다.
가치의 중심을 돈이 아니라 물건에 두어야 합니다.
물건의 가치가 오른 것이 아니라 돈의 가치가 하락한 것입니다.
10년 전과 비교해보면 지금까지 돈의 가치는 계속 하락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은행에서 받는 이자를 수익이라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현금은 주로 은행에다 맡겨 이자를 받습니다.
은행 이자가 연 1.5%고, 물가상승률이 2%라고 하면, 은행에 있는 내 돈의 가치는 오히려 0.5% 하락한 것입니다.
은행에 저축하면 이자가 붙기 때문에 보통 돈이 들어온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물가상승률보다 은행 이자가 높을 때의 경우입니다.
투자를 하기에는 돈을 잃을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은행에 안전하게 보관해서 이자라도 받으려는 사람이 많은데,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은 돈을 잃는 것입니다. 즉 손해입니다.
이성적인 사람이라면 현금을 가지고 있을 이유가 없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 떨어지는 것만큼 다른 어떤 것들의 가치가 상승한다.
경제위기 같은 이유 때문에 현금을 모으시는 분들은 현금을 모으기보다는 경제 위기가 발생할 때 올라가는 자산을 사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자산이 위기 때 올라가나?
경기가 불황일 때 금리를 인하하고, 경기가 호황일 때 금리를 올립니다.
경기 불황으로 금리를 계속 내리다 보면 어느 시점에 버블이 붕괴되어 경제 위기가 오게 됩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아파트, 금, 달러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다가 버블이 터지면서 아파트와 달러는 무너지고 금 값이 폭등합니다.
따라서 본인이 생각했을 때 앞으로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아파트나 주식을 사고,
본인이 생각했을 때 앞으로 경제가 나빠질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금을 사는 것이 좋습니다.
금 사는 방법
한국에서 금을 현물로 구매하게 되면 부가가치세 10%가 발생합니다.
10%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금을 사는 것을 꺼려하고, 몰래 금을 밀수하는 일이 발생하자 금 투자를 증진시키기 위해 정부에서 대책을 세웠습니다.
'KRX 한국거래소 금 현물시장'
KRX 금 현물시장에서 금을 구매하면 부가가치세 10%가 면제됩니다.
따라서 투자목적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KRX 금
KRX 금은 증권사에서 KRX 금 통장을 만들면 금 거래가 가능해집니다.
(모바일 거래 가능사 NH투자, 삼성, 신한금융, 유안타, 키움, 한국투자)
거래 방식은 주식 거래와 동일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사고파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금화 하기 가장 좋습니다.
KRX 금 현물시장에서 금을 구매하면, 현물을 보내주는 것이 아니라 주식처럼 금의 소유권을 갖게 되고, 자신이 구매한 금은 안전한 곳에 보관됩니다.
만약에 소유권만 갖는 것이 불안하신 분은 현물로 인출도 가능합니다.
단, 실물 인출 시 부가가치세가 적용됩니다.
믿을 수 있나요?
한국 거래소가 정한 품질 및 외형요건을 만족하는 순도 99.99%인 골드바만 거래되기 때문에 안전합니다.
금 투자 방법
금 거래 계좌 개설 후 매달 월급날 저축하듯이 동일 금액을 적립식 구매합니다.
가격이 싸진 것 같아서 한 번에 왕창 사거나, 중간에 너무 비싸져 다음에 사야지 하시는 분들은 시작도 하지 말아야 합니다.
하지만 이분법적인 생각으로 무조건 금만 사려고 하지 말고 이성적으로 자산 배분을 통해서 모두 발을 걸쳐 놓는 것이 핵심입니다.
저도 금 투자를 1월부터 꾸준히 했는데요.
그 당시보다 금 가격이 많이 올랐습니다.
지금 이미 오를 만큼 올라서 안 사시는 분들, 이미 1월에도 오를 만큼 올랐다는 말이 나왔습니다.
금값이 오르든 떨어지든, 금의 가치는 변하지 않습니다.
현금의 가치가 변하는 것이죠.
위기가 왔을 때 위기를 기회로 삼을 수 있게 지금부터 준비합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뮤직카우 - 5. 뮤직카우로 돈 벌 수 있나요? / 뮤직카우 이용자의 솔직한 리뷰 (0) | 2020.08.24 |
---|---|
[재테크] 뮤직카우 - 4. 한 달 이용 후기 (정산 날짜 / 저작권 수익) (0) | 2020.07.02 |
[재테크] 뮤직카우 - 3. 유저마켓 (0) | 2020.05.31 |
[재테크] 뮤직카우 - 2. 옥션(경매) (0) | 2020.05.31 |
[재테크] 뮤직카우 - 1. 음악이 안정적인 자산이 된다 (0) | 2020.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