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몸은
세포 → 조직 → 기관 → 기관계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조직'에 대해 알아보자
조직(tissue)은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1. 상피조직 2. 결합조직 3. 근육조직 4. 신경조직
1.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 : 몸의 표면과 몸통의 체강을 덮고 있으며 분비선을 형성한다.
1) 단층상피 : 상피세포의 두께에 따라 두가지로 나뉜다.
- 얇은 : 폐, 순환, 소화계
- 두꺼운(점액분비세포와 섬모 존재) : 기도
2) 중층상피 : 표피, 빠른분열
* 분비선(gland) : 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세포인 점액분비세포와 다세포인 침샘, 땀샘 등이 있다.
- 외분비선(exocrine gland) : 관, 통로를 통해 분비한다. (침샘, 땀샘 등)
- 내분비선(endocrine gland) : 호르몬을 분비해 혈관으로 이동한다.
2.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 :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다.
1) 성긴 결합조직(피부) : 점성이 있는 유동액 + 섬유상 단백질 + 콜라겐 분비 세포
내부 골격 역할, 상피조직과 결합하여 막(membrane) 형성
2) 조밀 결합조직(근육, 뼈) : 콜라겐 섬유
유연하며, 콜라겐 섬유 방향으로는 강함
- 힘줄(tendon) : 골격과 근육 연결
- 인대(ligament) : 골격과 골격을 연결
3) 특수 결합조직
- 연골(cartilage) : 연골세포 + 콜라겐
- 뼈(bone) : 연골세포 + 콜라겐 + 인산칼슘(단단)
- 지방조직(adipose tissue) : 지방세포
- 혈액(blood) :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 혈장
- 림프(lymph) : 백혈구 + 모세혈관 체액
3. 근육조직(muscle tissue) : 수축하는 능력이 있다.
1) 골격근(skeletal muscle)
- 신경계에 의해 자극 / 의식적
2) 심근(cardiac muscle)
- 심장에 분포 / 전기적 신호로 수축 / 무의식적
3) 민무늬근(smooth muscle)
- 소화관, 호흡기 벽, 자궁, 큰혈관, 방광, 피부, 홍채에 분포 / 신경계, 호르몬, 기타 화학물질에 의해 자극 / 무의식적
4. 신경조직(nerve tissue) :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전달한다. - 신경계를 만든다.
1) 뉴런(neurons) :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도시킨다.
- 수지상 돌기(dendrite) : 신호를 받음
- 세포체(cell body) : 핵이 존재하고, 신진대사를 수행
- 축삭돌기(axon) : 다른 뉴런으로 전달
- 말단(terminal) : 축삭의 끝 부분에 있고, 다른 세포로 정보 전달
2) 신경교세포(glial cell) : 뉴런을 감싸고, 세포간질액의 성분도 조절
'생명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과학] RT-PCR(역전사효소 PCR) (0) | 2020.04.14 |
---|---|
[생명과학] 김빛내리 교수, 코로나 비밀 풀었다. (0) | 2020.04.10 |
[생명과학] cDNA란 무엇인가? (0) | 2020.04.07 |
[생명과학] 항상성(Homeostasis)은 무엇일까? (0) | 2020.03.22 |
[생명과학] 바이러스(virus)란 무엇인가? (0) | 2020.03.21 |